융통성 있는 생활 양식
작성자 정보
- 작성자 FOCU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140
본문
칼럼기고: 서미진 박사 (호주기독교대학교수, 생명의 전화 원장)
융통성 있는 생활 양식
아침에 잠을 깨우기 위해 신나는 음악을 틀었다. 그런데 이상한 음이 나오면서 잘 들리지가 않았다. 음량도 조절해 보고 눕혔다가 세웠다가 전화기를 이리저리 옮겨 보았지만 도저히 소리가 이상하게 들려서 전화기가 고장이 났나 했다. 그런데 눕혔더니 소리가 나쁘지 않은 것 같아 그렇게 듣고 있는데 부엌을 지나가고 있던 딸이 "왜 그렇게 빨리 듣고 있어! 라고 하며 들어와서 속도를 조절해 주었는데 알고 보니 어제 방송을 보다 소리를 빨리 설정해 놓았던 것이다. 무엇이 원인인지도 모르고 나는 엉뚱한 곳에서 답을 찾고 있었던 것이다.
아침의 이 경험이 나에게 작은 통찰을 주었다. 프로그램이 바뀔 때마다 세팅이 바뀌어져야 하는 것처럼 시대나 상황이 바뀔 때마다 세팅을 바꿀 수 있을 때 잘 기능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데 나도 모르게 우리는 융통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내가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고 거기에서만 답을 찾으려 할 때가 있다는 것이다.
인생에서 경험하는 것들에는 정해진 답이 없는 경우가 많다. 어떤 사람에게는 적절하던 것이 나에게는 맞지 않고 어떤 사람에게는 너무나 좋은 것이 나에게는 좋은 것이 아니라 쓰레기가 될 수도 있고 또 그것이 언젠가에 따라 다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어제 남편이 팬트리에 설치할 수 있는 가구들을 집으로 가지고 왔다. 멀리 골드 코스트로 가는 가족이 있는데 가게에서 사용한 물건들이 더 이상 필요가 없기 때문이었다. 그 분들에게는 필요 없는 것들이 우리에게는 필요한 것이었기에 감사하며 가지고 올 수 있었다. 이처럼 누군가에게는 쓰레기로 처분되어야 하는 것이 누군가에게는 귀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 될 수 있기에 정형화된 답을 찾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나의 상황에 맞는 답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나만의 고정된 틀을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지고 있어서 그것이 마치 유튜브의 세팅이 잘못되어서 내가 이상한 속도로 프로그램을 보고 있는 것처럼 불편한 상황인데도 내가 잘못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나에게는 예의범절이 중요하고 어른들을 챙기고 선후배를 따지는 것이 중요한 경험이고 삶의 많은 부분이 그렇게 세팅이 되어 형성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우리 자녀들이 살고 있는 세상, 특히 호주 사회에서는 그런 부분들이 중요하지 않을뿐더러 그런 세팅이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아이들에게 인사를 강요하고 예의를 지키지 않는다고 나무랄 때 우리는 불편한 관계를 경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마치 다른 프로그램인데 여전히 이전 프로그램의 세팅 속도를 적용하려는 것처럼 말이다.
알프레드 아들러는 이런 인생의 고정된 틀이 어린 시절의 경험에서 형성이 되는데 그것을 '생활 양식'이라고 명명하였다. 어린 시절에 형성된 자신에 대한, 타인에 대한, 세상에 대한 틀이 평생을 살아가는데 고정된 틀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 사람의 성격 형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고 대인 관계에서 상호작용을 할 때도 지대한 영향을 주어서 그것이 건강하게 형성이 되었으면 평생 평안한 삶을 살아가게 된다. 반면 건강하게 형성되지 못한 생활 양식의 고정된 틀은 자신을 힘들게 하고 관계의 어려움을 겪게 하고 더 나아가서 개선이 되지 못하면 왜곡된 성격의 틀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게 되는 아픔을 경험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면 그 삶에게 모든 것을 다 내어주고 희생하고 자신을 잃어버리는 패턴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다 해주면 자신이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면서 사람을 찾지만 상대로부터 학대를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활 양식이나 관계 패턴이나 사람에 대한 편견이나 이해의 틀을 잘 알지 못하면 살아가면서 반복적인 관계의 아픔을 형성하게 된다. 융통성 있게 살아가기 위해서 우리는 나를 돌아보는 것이 필요하고 나에게 잘못 세팅 되어져 있는 부분이 어떤 것이 있는지 들여다볼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비록 생활 양식이 건강하지 못하더라도 그것에 대한 인식이 있을 때 우리는 얼마든지 성장과 변화를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우연히 유튜브에서 싱글의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짝을 찾아주는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는데 남자 할아버지 네 명과 여자 할머니 네 명이 등장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런데 그 프로그램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할아버지는 키가 크고 좋은 직업을 가지고 멋쟁이 옷차림의 사람이 아니었다. 인상이 서글서글하고 사람들과 융통성 있게 대화를 잘 나누는 동네 아저씨 같은 사람이 제일 인기가 있었다. 나이가 들고 할머니, 할아버지가 되어서 인생을 많이 살아보니 돈도 외모도 더 이상 많이 중요하지 않은 시기에 도달하니 더 중요한 것이 건강한 생활 양식을 가지고 융통성 있게 열린 태도의 사람이 더 좋은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이 아닐까 싶다.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성숙해져서 더 많은 융통성과 삶의 경험을 통합함으로 오는 성숙의 아름다움이 있는가 하면 잘못된 세팅으로 인생을 계속 살아감으로 인생의 마지막에 고집불통의 닫힌 태도를 가지고 타인을 원망하며 세상을 원망하며 자신을 바라보지 못하여 외롭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융통성과 삶의 통합을 경험한 사람들의 주위에는 가족들이 많다. 자녀들이 그들과 함께하기를 원하고 그들을 닮기 원하고 그들을 따르기 원한다. 반면에 그렇지 못한 분들의 삶은 가족들이 멀리 떠나가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사랑하지 않아서가 아니고 융통성 없고 자신을 인식하지 못하는 삶의 태도가 자녀들과 후손들에게 불편을 주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하기를 원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우리는 내가 경험한 인생의 틀이 내가 세팅한 삶의 태도가 전부일 것이라고 하는 안일한 태도를 버리고 나를 돌아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나의 인생을 바라보는 세팅이 어떻게 형성 되어있는지를 인식하고 건강한 틀이 아니라면 나이와 상관없이 과감하게 깨뜨리며 살아가는 용기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장성한 자녀와 또는 결혼한 자녀와 자꾸 갈등이 생긴다면 나의 자녀들이 바뀌어야 한다고만 생각하지 말고 내가 경험한 삶의 자리에서 형성된 '생활 양식' 즉 사람과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를 점검해 보고 먼저 내가 " ~ 해야만 해" 라는 태도를 버리고 변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어른들은 인생을 통해서 자신에게 형성된 고정된 틀로 인해 새로운 세대와 소통하고 새로운 세대와 삶을 이어가는 것이 힘든 반면 젊은이들은 현대의 가장 흥행하고 유행하는 트렌드를 무분별하게 따라가는 경향이 있다. 그것이 나에게 좋은 것인지 아닌지 나에게는 해당되는 것인지 아닌지를 모른 채, 유행이면 좋을 것이라 생각하며 따라가고 한 시대의 주류 사조를 무비판적으로 따라갈 때 우리는 자칫 부모의 유산으로 내려오는 좋은 삶의 양식까지 버리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는 것도 기억해야 할 것이다.